12간지 순서 정리 또는 십이간지 순서 정리로 표현하는게 맞는 것일까? 우리는 12간지(십이간지), 12지지(십이지지)라는 표현을 쓰는데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이고 어느것이 잘못된 표현일까?
그럼, 12간지(십이간지) 순서 정리와 12지지(십이지지) 순서 정리 어느것이 맞는 표현이고 또, 어느것이 잘못된 표현인지를 아래를 읽어보고 판단해 보자.
십이간지 순서나 십이지지 순서를 보기 전에 쉽게 이해하고 구분할 수 있도록 천간과 지지에 대해서 먼저 알아보자.
천간(天干)
천간은 한자로 보면 하늘 천이 들어 있듯이 하늘을 나타내어 '양'을 의미한다. 천간에는 총 10간이 있다.
10 천간
甲(갑) ,乙(을), 丙(병), 丁(정), 戊(무), 己(기), 庚(경), 申(신), 壬(임), 癸(계)
외울때는 갑을병정, 무기경신, 임계 로 4자씩 외우면 쉽다. (마지막은 2자~^^)
지지(地支)
지지는 한자로 보면 땅지가 들어 있듯이 땅을 표현하며 '음'을 나타낸다. 지지에는 총 12지지가 있다.
12 지지
子(자), 丑(축), 寅(인), 卯(묘), 辰(진), 巳(사), 午(오), 未(미), 申(신), 酉(유), 戌(술), 亥(해)
외울때는 자축인묘, 진사오미, 신유술해 로 4자씩 외우면 쉽다.
이제 간지를 보면, 간지는 "간 + 지" 가 합해진 단어로 간은 '천간'에서 '간'을 가져왔고, 지는 '지지'에서 '지'를 가져왔다. 그래서 간지가 된 것이다.
그럼 간지는 총 몇개일까?
천간 10개에 지지 12개를 곱하면 120개가 된다. 그런데 왜 60갑자가 되는 것일까?
잘 보자~
총 120개가 나오는 경우는 이렇다.
10 천간
천간- 甲(갑) ,乙(을), 丙(병), 丁(정), 戊(무), 己(기), 庚(경), 申(신), 壬(임), 癸(계)
12 지지
子(자), 丑(축), 寅(인), 卯(묘), 辰(진), 巳(사), 午(오), 未(미), 申(신), 酉(유), 戌(술), 亥(해)
천간 1자에 지지 1자를 더하면 총 120개가 된다.
갑자, 갑축, 갑인, 갑묘, 갑진, 갑사, 갑오, 갑미, 갑신, 갑유, 갑술, 갑해 이런 원리가 된다면 총 120가지가 된다. 그러나 간지는 '갑'이라는 천간이 혼자 12번을 하도록 두지 않는다.
그래서 갑이 시작을 하면 다음은 을, 병, 정, 무, 기, 경, 신, 임, 계 순으로 한번씩 돌아가면서 나온다.
'갑자'가 시작하면 다음은 '을축','병인','정묘' 순서로 해서 '임술','계해'년까지 표현한다. 그래서 60갑자라고 표현하는데, 이는 60년마다 갑자가 새로 시작되어서다.
60갑자(한글)
‘갑자' , '을축' , '병인' , '정묘' , '무진' , '기사' , '경오' , '신미' , '임신' , '계유' , '갑술' , '을해'
‘병자' , '정축' , '무인' , '기묘' , '경진' , '신사' , '임오' , '계미' , '갑신' , '을유' , '병술' , '정해'
‘무자' , '기축' , '경인' , '신묘' , '임진' , '계사' , '갑오' , '을미' , '병신' , '정유' , '무술' , '기해'
‘경자' , '신축' , '임인' , '계묘' , '갑진' , '을사' , '병오' , '정미' , '무신' , '기유' , '경술' , '신해'
‘임자' , '계축' , '갑인' , '을묘' , '병진' , '정사' , '무오' , '기미' , '경신' , '신유' , '임술' , '계해'
60갑자(한문)
‘甲子' , '乙丑' , '丙寅' , '丁卯' , '戊辰' , '己巳' , '庚午' , '辛未' , '壬申' , '癸酉' , '甲戌' , '乙亥'
‘丙子' , '丁丑' , '戊寅' , '己卯' , '庚辰' , '辛巳' , '壬午' , '癸未' , '甲申' , '乙酉' , '丙戌' , '丁亥'
‘戊子' , '己丑' , '庚寅' , '辛卯' , '壬辰' , '癸巳' , '甲午' , '乙未' , '丙申' , '丁酉' , '戊戌' , '己亥'
‘庚子' , '辛丑' , '壬寅' , '癸卯' , '甲辰' , '乙巳' , '丙午' , '丁未' , '戊申' , '己酉' , '庚戌' , '辛亥'
'壬子' , '癸丑' , '甲寅' , '乙卯' , '丙辰' , '丁巳' , '戊午' , '己未' , '庚申' , '辛酉' , '壬戌' , '癸亥'
60갑자(한글/한문)
‘甲子' , '乙丑' , '丙寅' , '丁卯' , '戊辰' , '己巳' , '庚午' , '辛未' , '壬申' , '癸酉' , '甲戌' , '乙亥'
‘갑자' , '을축' , '병인' , '정묘' , '무진' , '기사' , '경오' , '신미' , '임신' , '계유' , '갑술' , '을해'
‘丙子' , '丁丑' , '戊寅' , '己卯' , '庚辰' , '辛巳' , '壬午' , '癸未' , '甲申' , '乙酉' , '丙戌' , '丁亥'
‘병자' , '정축' , '무인' , '기묘' , '경진' , '신사' , '임오' , '계미' , '갑신' , '을유' , '병술' , '정해'
‘戊子' , '己丑' , '庚寅' , '辛卯' , '壬辰' , '癸巳' , '甲午' , '乙未' , '丙申' , '丁酉' , '戊戌' , '己亥'
‘무자' , '기축' , '경인' , '신묘' , '임진' , '계사' , '갑오' , '을미' , '병신' , '정유' , '무술' , '기해'
‘庚子' , '辛丑' , '壬寅' , '癸卯' , '甲辰' , '乙巳' , '丙午' , '丁未' , '戊申' , '己酉' , '庚戌' , '辛亥'
‘경자' , '신축' , '임인' , '계묘' , '갑진' , '을사' , '병오' , '정미' , '무신' , '기유' , '경술' , '신해'
'壬子' , '癸丑' , '甲寅' , '乙卯' , '丙辰' , '丁巳' , '戊午' , '己未' , '庚申' , '辛酉' , '壬戌' , '癸亥'
‘임자' , '계축' , '갑인' , '을묘' , '병진' , '정사' , '무오' , '기미' , '경신' , '신유' , '임술' , '계해'
60개로 이루어진 간지 표현을 12간지로 하는게 맞는 표현일까? 60간지로 하는것이 맞는 표현일까?
우리가 말하는 환갑, 회갑도 한자로 표현한 것으로 '환', '회' 는 돌아온다는 뜻이다. 예전에는 수명이 환갑까지 사는 것이 쉽지 않아 환갑연(회갑연)을 성대하게 치르기도 하였다.
이번에는 간단하게 12지지에 대해서 알아보고 자세한 내용은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적어볼까 한다.
지지(地支)
지지는 한자로 보면 땅지가 들어 있듯이 땅을 표현하며 '음'을 나타낸다. 지지에는 총 12지지가 있다.
12 지지
子(자), 丑(축), 寅(인), 卯(묘), 辰(진), 巳(사), 午(오), 未(미), 申(신), 酉(유), 戌(술), 亥(해)
자세히 보면 한자표현이 우리가 알고 있는 띠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그래서 부모와 사촌과 나이가 12년 차이가 난다면 바로 띠동갑이 되는 것이다.
나도 토끼띠, 사촌도 토끼띠, 엄마도 토끼띠, 아빠도 토끼띠 이렇듯이 말이다.
하나의 예로, 우리나라 인구를 5,000만명이라고 본다면, 계산상 쥐띠는 420만명 (5,000만명 ÷ 12(12가지 띠) = 약, 420만명) 정도 된다.
子(자) : 쥐 띠, 丑(축) : 소 띠, 寅(인) : 호랑이 띠, 卯(묘) : 토끼 띠, 辰(진) : 용 띠, 巳(사) : 뱀 띠, 午(오) : 말 띠, 未(미) : 양 띠, 申(신) : 원숭이 띠, 酉(유) : 닭 띠, 戌(술) : 개 띠, 亥(해) : 돼지 띠
이상, 12간지(십이간지) 순서 정리와 60간지 순서 정리 중 어느것이 맞는 표현인지에 대해서 알아보고, 간단하게 12지지(십이지지) 순서 정리를 해 보았습니다.
'일상.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타이어 생산년도 제조일자 확인 방법 30초도 안걸려~ (1) | 2017.08.09 |
---|---|
애드센스 일치하는 콘텐츠 광고가 나오지 않을때 확인해 보는 방법 (0) | 2017.08.07 |
마당에서 뛰 논 백숙~ 쫄깃~ 쫄깃~ (0) | 2017.07.31 |
우체국 무인우편창구 우편자동접수기 설치장소및 이용안내 (0) | 2017.07.27 |
선풍기로 여름철 실내온도 낮추기및 방 온도 낮추기 초간단 방법 (0) | 2017.07.24 |
댓글